안녕하세요 오늘은 저의 본업인 물리치료사로서 허리디스크와 허리건강에 대해 포스팅을 해보려 합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 허리 디스크와 요즘 나오는 최신 트렌드의 허리 디스크 논문에 대해서 나누어 설명을 드리려 합니다.
병원에서 허리 디스크 하면 보통 많이들 두려워 하고 놀라는 부분인 병명이기도 하는 데요.
어떠한 병원에서는 바로 수술을 권하기도 하여 더 무섭게 느끼는 것 같습니다.
팩트로서 허리 디스크에 대해 바로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허리 디스크란
허리 디스크란 병명에 대해 쉽게 알고 말하기 위해 만든 말이지 본명은 허리 디스크 탈출증이라고 부릅니다.
허리에 있는 척추 뼈와 척추 뼈 사이에 있는 구조물을 디스크라고 부르는데요.
이 디스크가 측후방으로 탈출을 하여 신경을 누르는 것을 일반적으로 허리 디스크라고 부르고 정식 명칭으로는 허리 디스크 탈출증이라고 부릅니다.
1. 보편적으로 디스크의 구조물이 가볍게 밀려 나온것을 변성(Degeneration)
2. 디스크 내부의 수핵을 감싸고 있는 섬유륜이 찢어지며 수핵이 섬유륜으로 스며드는 것을 팽윤 혹은 돌출(Ballooning, Prolapse)
3. 팽윤이나 돌출단계의 디스크가 섬유테가 완전히 찢어져 수핵이 섬유테 밖으로 튀어나오며 신경이나 신경근을 누르게 되는 탈출(Protrusion, Herniation)
4. 튀어나온 수핵이 완전이 떨어져 나와 척추고나 안이나 신경 나가는 구멍을 아예 막아버리는 추간판 박리 또는 격리(Sequestration)
의 네가지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허리 디스크 증상
허리 디스크의 대표적인 증상은 한쪽 다리의 저림, 한쪽 다리의 혈액순환이 감소 되는 느낌, 터질것 같은 통증 ,편측 다리의 힘이 약해짐, 감각이상이나 저하와 같은 신경성 통증의 특징으로 나타나게 되어집니다.
주로 방사통이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보통의 증상은 신경성으로 나타나지고 박리나 격리와 같은 심각한 단계에서는 마비 혹은 대소변을 잘 가리지 못하는 증상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디스크의 정도가 약하거나 미비하면 허리 자체의 통증으로 느낄 가능성이 큽니다.
여기서 협착증이랑도 비교를 하셔야 하는데 협착증은 보통 나이가 들며 생기는 퇴행성 질환으로 디스크와 차이점을 두자면 디스크는 대부분이 편측 협착증은 양측으로 통증기전이 발생을 하며 협착증은 허리를 숙이거나 쭈그려 앉으면 통증이 감소하는 증상이 대표적입니다.
허리 디스크 검사
허리 디스크의 검사는 보통 이학적 검사와 영상 검사로 이루어집니다.
문진을 통해서도 유추를 할 수 있고 이학적인 검사를 통해서도 유추만 가능합니다.
하지면 요즘 병원에 가보면 X-ray만으로 디스크를 판별하는데 이것은 잘못된 내용이고 이것 또한 유추일 뿐입니다.
디스크에 대한 정밀한 진단은 MRI를 통해서만 판별이 가능하며 나머지 검사는 증상과 뼈 사이의 공간 변화를 통해 유추하는 것일 뿐 100% 디스크 판별은 어렵습니다.
-위 사진으로만 봐도 좌측 xray는 허리 디스크인지 협착인지 신경이 눌리는 모습을 볼 수 없습니다.-
여기서 중요한게 보통은 병원에 가시면 x-ray를 찍고 '디스크입니다 수술하셔야겠어요' 라는 말을 매우 많이 듣는데 다시 잘 생각해보시면 디스크는 MRI로 정밀한 판별이 가능하며 디스크 단계중에서도 4단계가 아닌 이상 자연 치유 혹은 보존치료, 주사치료, 운동치료 등으로 개선이 될 수 있습니다.
xray로만으로 디스크 수술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면 타 병원을 내원하는 것도 방법이며 우선적으로 운동치료와 주사치료를 병행해보시고도 증상이 개선이 되지 않는다면 MRI를 찍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허리 디스크 운동
요즘 나오는 최신 논문들을 보면 허리 디스크에 좋은 운동은 소위 말하는 코어근육 운동이 있지만 디스크 단계에서 1,2단계에 해당하는 사람들이라면 과하게 비트는 동작의 운동이나 무게를 무조건 올리며 하는 하드 트레이닝 혹은 파워리프트를 제외한 운동들은 거의 대부분 권장을 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통증 정도에 따라서 운동을 진행해야하며 혼자서 바로 진행하는 것 보다는 물리치료사와 초기에는 같이 병행하며 본인에 맞는 운동량을 잡고 서서히 올려가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그래서 제 포스팅에는 딱 집어서 이 운동이 좋다라고 말씀을 드리지 않고 병원에 내원하셔서 도수치료 혹은 운동치료를 받으시면서 본인에 맞는 운동강도와 시간, 세트를 진행하시는게 가장 좋습니다.
그래도 그중에 추천을 드리자면 가볍게 걷기 혹은 가벼운 경사진 언덕을 걷는 것을 추천을 드리고 통증을 1점에서 10점으로 나열했을 때 10점이 죽을 만큼 아프다, 1점은 거의 안아프다라면 4-5점 정도의 통증점수까지는 허용을 하며 운동을 해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통증 점수가 6-7점이 넘어간다면 운동 강도를 줄이시거나 잠시 쉬었다가 다시 진행 하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그리고 본 포스팅은 어디까지나 보편적인 증상을 가지신 환자분들을 토대로 그리고 논문을 바탕으로 글을 쓴것입니다.
모든 통증이 있으신 분들에게 해당이 되는 글이 아니므로 정확하고 자세한 진단은 병원을 내원하셔서 검사를 받고 진행하는 것이 좋으며 내원시 참고하면 좋은 내용들로 포스팅을 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번 더 말씀을 드리자면 Xray만으로 허리 디스크라는 판정을 내리고 바로 수술하자는 것에 겁먹지 마시고 MRI를 찍기 전까지는 모르는 상황입니다.
기본적인 도수치료나 주사치료를 진행 한 후에도 증상이 개선이 없고 악화가 된다면 MRI를 바로 찍어보시는 것이 좋으며 만약 증상이 너무 심하신 상태라면 내원을 하기 전에 바로 MRI촬영 후 정밀 진단을 받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오늘도 이렇게 글을 마치며 많은 분들이 아프지 않고 건강한 모습으로 블로그 포스팅을 보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06.13 - [건강] - 침해성 통증(Nociceptive pain)과 신경병성 통증(Neuropathic pain)
침해성 통증(Nociceptive pain)과 신경병성 통증(Neuropathic pain)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침해성 통증(nociceptive pain)과 신경병성 통증(neuropathic pain)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소위 통증을 말할 때 이쪽 한 부위가 아파요, 저린 느낌이 있어요, 무거운 느낌
ptbaepro.tistory.com
2024.03.18 - [건강] - 당뇨에 좋은 음식 추천 및 혈당 낮추는 법과 운동
당뇨에 좋은 음식 추천 및 혈당 낮추는 법과 운동
안녕하세요 오늘은 오랜만에 저의 본 직업인 물리치료사로서 건강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왔습니다. 요즘 노인층을 비롯하여 젊은층분들도 당뇨로 고생을 하시고 혈당을 낮추기 위한 인슐린 주
ptbaepro.tistory.com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협착증의 증상과 원인, 협착증에 좋은 운동과 관리법 (0) | 2024.04.02 |
---|---|
목 디스크 증상과 원인 및 목 디스크에 좋은 운동 (0) | 2024.03.28 |
당뇨에 좋은 음식 추천 및 혈당 낮추는 법과 운동 (0) | 2024.03.18 |
체외충격파(ESWT) (0) | 2023.06.14 |
침해성 통증(Nociceptive pain)과 신경병성 통증(Neuropathic pain) (0) | 2023.06.13 |